2019 1.15 |
제40차 운영위원회 회의 |
2018 12.3 |
2018년 가정생명세미나
주제: 가정 폭력의 원인과 현실 그리고 교회의 대응 |
2018 11.20 |
제39차 운영위원회 회의 |
2018 9.18 |
제38차 운영위원회 회의 |
2018 1. 6. |
제37차 운영위원회 |
2017 12. 4. |
공동 학술세미나 |
2017 10. 20. |
제8차 가정사목국장 회의 |
2017 10. 18. |
제36차 상임위원회 |
2017 5. 25. |
제35차 상임위원회 개최 제7차 가정사목국장 모임 개최
|
2017 2. 23. |
제34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6 10. 21. |
제6차 가정사목국장 모임 개최 |
2016 10. 12. |
제33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6 5. 26. |
제5차 가정사목국장 모임 개최 제32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5 10. 16. |
제4차 가정사목국장 모임 개최 |
2015 10. 14. |
제31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5 5. 28. |
제3차 가정사목국장 모임 개최 제30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5 2. 26. |
제29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4 10. 17. |
제2차 가정사목국장 모임 개최 |
2014 5.27. |
제27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제1차 가정사목국장 모임 개최
2014년 정기 세미나 개최
주제: 가정과 본당사목
발제: 김혜숙 박사(로마 혼인과 가정연구소 한국 책임자)
논평: 정제호 신부(가정사목위원회 상임위원, 의정부교구 가정사목 담당)
장소: 광주대교구 평생교육원 대강당 |
2014 2.27. |
제26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신임 총무 송현 신부 외 6명 상임위원 위촉장 수여 |
2013 12. |
제13회 가정 성화 주간 담화문 발표
주제: 그리스도인 가정의 삶과 기도 |
2013 12. 4. |
제25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3 10.16. |
제24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3 5.14-15. |
2013년 가정사목 실무자 연수 및 세미나 개최
주제: 신앙의 해를 맞이하여 ‘가정 안에서의 신앙 교육 또는 전수’
발표: 강석준 신부(존산 대건고등학교장)
장소: 수원교구 가정사목연구소 |
2013 3. 6 |
제23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2 12. |
제12회 가정 성화 주간 담화문 발표
주제: 복음적 삶으로 거듭나는 가정 |
2012 12. 6. |
제22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2 10.17 |
제21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2 6.22. |
제20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2 5.15-17. |
2012년 정기 세미나 및 가정사목 실무자 연수 개최(장소: 성 이시돌 피정 센터) |
2012 3.14. |
제19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1 12. |
제11회 가정 성화 주간 담화문 발표. |
2011 12. 6. |
제18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1 10.13. |
제17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1 6.15. |
제16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1 5-17.-19. |
2011년 가정 사목 실무자 연수(전주 천호 피정의 집)와 세미나(전주교구청 대강당) 개최. |
2011 3. 30. |
2011-2013년 가정사목위원회 총무 김완석 신부와 6명 위원 위촉.
제15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0 12.26. |
제10회 가정 성화 주간 담화문 발표(주제: 성서적 사랑인 부부 사랑을 회복합시다) |
2010 12.21. |
제2회 가정지킴이상 시상식(수상 5곳 선정: 서울대교구 단중독사목위원회 가톨릭 알코올 사목 센터, 수원교구 가정사목연구소,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시립아동상담센터, 인보성체수도회 가정교리연구소, 전국 성 요셉 아버지 학교 운동본부). |
2010 12. 8. |
제14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0 10.13. |
제13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10 5. 12. |
2010년 가정사목위원회 정기 세미나 개최(주체: 혼인이란 무엇인가?, 장소: 부산교구 남천성당). |
2010 5. 10-12. |
가정 사목 실무자 연수 개최(장소: 마산 가톨릭회관). |
2010 3. 10. |
제12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09 12.27. |
제9회 가정 성화 주간 담화문 발표. |
2009 12.22. |
제1회 가정지킴이상 시상식(장소: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강당). |
2009 12. 9. |
제11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09 9. 9. |
제10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09 6. 10. |
제9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09 5. 19. |
2009년 가정사목위원회 정기 세미나 개최(주제: 다문화 가정에 대한 현실과 교회의 역할“, 주관: 제주교구 가정사목위원회, 장소: 제주교구 동광성당) |
2009 5. 18-20. |
가정사목 실무자 연수(장소: 성 이시돌 피정 센터) |
2009 3. 18. |
제8차 상임위원회 회의 개최. |
2008 12. 28. |
제8회 가정성화주간 담화문 발표(포스터, 가정성화주간 안내 책자 배부). |
2008 11. 24-26. |
교구 가정사목 담당 사제와 실무자 연수(장소: 씨튼 영성의 집). |
2008 11. 12. |
가정사목 상임위원 회의. |
2008 6. 11. |
가정사목 상임위원 회의. |
2008 5. 23. |
“가정 안의 신앙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정기 세미나 (장소: 대구대신학교 대강당). |
2008 3. 4. |
가정사목위원회 회의. |
2008 2. 25-27. |
교구 가정사목 담당 사제와 실무자 연수(장소: 청주교구 연수원). |
2007 12. 30. |
제7회 가정성화주간 담화문 발표. |
2007 11. 23. |
가정사목 상임위원 회의. |
2007 10. |
위원장 황철수 주교 선임 - 추계 정기총회에서 결정. |
2007 6. 22. |
가정사목 상임위원 회의. |
2007 6. 11-13. |
교구 가정사목 담당 사제와 실무자 연수(장소: 부산 은혜의 집). |
2007 5. 22. |
“현대사회에서 혼인과 교육-결혼, 선택인가! 필수인가!” 세미나 개최(인천교구 주안1동성당). |
2007 1. 12. |
가정사목 상임위원 회의. |
2006 12. 26. |
제6회 가정성화주간 담화문 발표. |
2006 11. 7-9. |
가정사목 관련 연석 회의(속초 민족문화교류재단). |
2006 7. 1-9. |
제5차 세계 가정대회 참가(장소: 스페인 발렌시아). |
2006 5. 26. |
“위기의 부부 어떻게 할 것인가?-부부, 살어! 말어!” 세미나 개최(대전 가톨릭문화회관). |
2006 3. 9. |
상임위원 회의. |
2006 1. 16-18. |
가정사목 관련 연석회의(제주도 성 이시돌 목장). |
2005 12. 25. |
제5회 가정성화주간 담화문 발표. |
2005 10. |
교구 가정사목 담당자 회의.
원주교구 김지석 주교가 가정사목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됨. |
2005 7. 13. |
가정사목 관련 단체장 회의. |
2005 6. 28. |
교구 가정사목 담당자 회의. |
2005 5. 25. |
“저출산과 고령화”세미나 개최(수원교구 인덕원성당). |
2005 5. 11. |
상임위원 위촉과 회의. |
2005 3. |
수원교구 송영오 신부가 가정사목위원회 총무로 임명. |
2005 2. 22. |
교구 가정사목 담당자 회의. |
2005 1. |
가정사목 관련 전체 연석회의. |
2004 12. 26. |
제4회 가정성화주간 담화문 발표. |
2004 10. 7-8. |
가정사목위원회 워크숍(장소: 수원 가톨릭교육문화회관). |
2004 8. 26. |
교구 가정사목 담당자 회의. |
2004 6. 10. |
“생명을 지향하는 가정”에 관한 공동 세미나 개최(장소: 명동 꼬스트홀). |
2004 5. 30. |
제10회 ‘생명의 날’ 담화문 발표, 전국 교구별 생명수호 캠페인. |
2004 3. 26. |
교구 가정사목 담당자 회의. |
2004 2. 11. |
제11차 세계 병자의 날 기념행사. |
2003 12. 26. |
제3회 가정성화주간 담화문 발표. |
2003 11. 28. |
“가정의 복음화-교회의 미래”에 관한 세미나 개최(가톨릭 회관). |
2003 11. 21. |
“가정의 복음화-교회의 미래”에 관한 세미나 개최(청주교구). |
2003 8. 29. |
교구 가정사목 담당 신부와 실무자 회의. |
2003 5. 25. |
제9회 ‘생명의 날’ 담화문 발표, 전국 교구별 생명수호 캠페인. |
2003 3. 14. |
교구 가정사목 담당 신부와 실무자 회의. |
2003 1. 22-27. |
제4차 세계가정대회 참가. |
2002 12. 26. |
제2회 가정성화주간 담화문 발표. |
2002 12. 6. |
가정사목 담당 신부 회의. |
2002 11. 15. |
“저출산 문제와 교회”연례 세미나 개최. |
2002 5.27. |
제8회 ‘생명의 날’ 담화문 발표 |
2001 12. 27. |
제1회 가정성화주간 담화문 발표, 자료집 제작과 송부. |
2001 11. 20. |
“가정사목의 반성과 전망”연례 세미나 개최. |
2001 7. 6. |
통일된 혼인 교리 교재 편찬을 위한 교구 확대 모임. |
2001 5. 27. |
제7회 ‘생명의 날’ 담화문 발표. |
2001 2. 10. |
교구 가정사목 담당 신부 특별회의. |
2000 11. 23. |
“현대사회와 성” 연례 세미나 개최. |
2000 10. 14-15. |
제3차 세계가정대회 참가. |
2000 5. 17. |
제6회 ‘생명의 날’ 담화문 발표, 포스터 제작, 전국 교구별 생명 수호 캠페인. |
1999 10. 14. |
주교회의 1999년 추계 정기총회에서 박정일 주교를 위원장으로 선임. |
1999 9. 29. |
‘인간 복제 시대와 그 윤리적 책임’에 관한 세미나 개최. |
1999 7. 27. |
각 교구 가정사목 담당 신부 연대 모임. |
1999 5. 30. |
제5회 ‘생명의 날’ 담화문 발표, 포스터 제작. 전국 교구별 생명수호 캠페인. |
1999 4. 7-11. |
제18회 ‘세계 생명수호대회’에 본 위원회 총무 참석(캐나다 토론토). |
1999 4. 2. |
주교회의 의장 정진석 대주교가 위원장의 임무를 대행함. |
1999 3. 22. |
가정, 사회윤리 담당 신부 연대 모임. |
1999 1. 29. |
제2차 상임위원회의. |
1998 12. 1. |
「가정 성시간」 자료집 발간, 전국 본당과 가정, 생명 단체에 보급. |
1998 10. 22-25. |
제5회 ‘아시아 사랑, 생명, 가정대회’ 개최(대구대교구). |
1998 5. 31. |
제4회 ‘생명의 날’ 담화문 발표, 포스터 제작, 전국 교구별 생명수호 캠페인. |
1998 5. 19. |
상임위원회 발족과 제1차 상임위원회의. |
1998 4. 15-19. |
제17회 ‘세계 생명수호대회’에 본위원회 총무 신부 참석(미국 휴스톤). |
1998 4. 1. |
‘약 10주 된 태아의 손 배지’ 제작, 전국 본당과 생명 관련 단체에 보급. |
1997 12. 3. |
제22차 정기총회. |
1997 10. 29. - 11. 1. |
제4회 ‘아시아 사랑·생명·가정대회’에 총무 신부와 가정, 생명 단체 지도자 참석(싱가포르). |
1997 10. 1-5. |
제2회 ‘세계 가정대회’에 본위원회 위원장 주교와 총무 신부를 비롯하여 17명 참석(브라질 리오 데 자네이로). |
1997 5. 25. |
제3회 ‘생명의 날’ 담화문 발표, 포스터 제작, 발 배지와 리플릿 보급. 전국 교구별 생명 수호 캠페인. |
1997 1-12. |
매월 가정 성화 회보에 가정에 관한 교육 자료 제공. |
1996 12. 4. |
제21차 정기총회. |
1996 12. 3. |
생명 수호를 위한 교육용 비디오 번역 제작. |
1996 11 |
「1997 가정 성시간」 자료집 4만 부 제작 보급. |
1996 10. 27. |
제3회 ‘전국 가정대회’ 개최, 참가 인원 약 600명(대구대교구 가톨릭교육원). |
1996 5. 26. |
제2회 ‘생명의 날’ 담화문 발표와 발 배지와 리플릿 제작 보급, 전국 교구별 생명 수호 캠페인. |
1996 4. 10-14. |
제15회 ‘세계 생명수호대회’에 본위원회 총무 신부 참석(미국 신시네티). |
1996 1-12. |
매월 교구 주보에 가정에 관한 교육 자료 제공. |
1995 12. 11. |
제20차 정기총회. |
1995 11. 28. |
[1996 가정 성시간] 자료집과 홍보 포스터 제작 보급. |
1995 10. 26-29. |
제1회 ‘아시아 사랑·생명·가정대회’에 총무 신부 참석(필리핀 마닐라). |
1995 9. 24. |
제2회 ‘전국가정대회’ 개최, 참가 인원 약 2,000명(청주 공군사관학교). |
1995 7. 18. |
성완해 신부 가정사목위원회 총무 신부로 부임. |
1995 5. 27. |
제1회 ‘생명의 날’ 가두 캠페인(명동과 전국 교구). |
1995 5. 3. |
제1회 ‘생명의 날’ 담화문과 ‘청소년들에게 보내는 편지’ 발표. |
1995 3 |
서정덕 주교가 가정사목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됨. |
1995 1 |
[1995 가정 성시간] 자료집(6만부)과 ‘사랑과 생명’ 스티커 제작 보급. |
1994 12. 7. |
제19차 정기총회. |
1994 10. 26. |
형법 개정안 제135조 반대 시위(여의도)와 국회에 성명서 전달. |
1994 10. 9. |
제1회 ‘전국 가정대회’ 개최, 참가 인원 약 1,000명(서울대교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리아홀). |
1994 10. 6. |
마리아 콤플렉스 공연. |
1994 9. 8. |
교황청 가정평의회 의안집 「인구 문제에 대한 윤리적 사목적 고찰」 번역. |
1994 8. 21. |
명동 가두 캠페인 전개 배지 15,000개 홍보 카드 4만 장 배포. |
1994 8. 15. |
카이로 세계 인구 개발회의에 즈음한 “우리는 생명과 사랑, 그리 고 가정을 지지한다” 성명서 발표. |
1994 8. 10. |
연구자문위원회 회의. |
1994 4. 21.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형법 개정안 제135조에 대한 의견 발표. |
1994 3. 19. |
‘가정의 해’ 사목교서 발표. |
1994 1. 31. |
태아의 뇌세포를 이용한 파키슨병 치료에 대한 성명서 발표. |
1994 1-12. |
‘가정의 해’ 교육 자료 주보 게재. |
1993 12. 7. |
제18차 정기총회에서 가정 성화와 생명 수호를 위한 묵주기도 100만 단 봉헌 운동 결정. |
1992 10. 16. |
송열섭 신부를 가정사목위원회 총무로 임명하고 가정사목위원회를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내에 두기로 함. |
1992 10. 13-16. |
주교회의 추계 정기총회에 ‘생명 수호의 달, 주일, 날 제정’을 건의,
주교회의 총회는 더욱 효율적인 가정 사목을 위해 각 교구별로 형편에 맞게 추진하기로 함. |
1992 10. 13-15. |
제17차 한국행복한가정운동 정기총회와 워크숍. |
1992 4. 10. |
청소년 순결 교육용 교재 「생명을 위한 사랑」 1만 부 발간 배포. |
1991 10. 29-31. |
제16차 한국행복한가정운동 정기총회. |
1989 6. 15. |
회보 제5호 발간. |
1988 12. 30. |
회보 제4호 발간. |
1988 10. 25. |
회보 제3호 발간. |
1988 5. 8. |
낙태와 불임시술에 관한 성명서 발표. |
1988 3. 1. |
회보 제2호 발간. |
1987 12. 25. |
회보「행복한 가정」창간호 발간. |
1985 |
맹광호 박사, 행복한가정운동 회장과 총무 겸임, 주교회의는 200주년 결산 잔여금 중 5억 원을 가정사목 활동기금으로 제공하여 각 교구 행복한가정운동 활성화에 기여. |
1984 3. 20-23. |
정부 당국이 불임 수술한 사람들에게 베푸는 모든 혜택을 자연적 가족계획을 실시하는 사람에게도 동등하게 베풀도록 정부 당국에 건의하기로 결정 |
1980 5. 6-9. |
가정사목부를 주교회의 가정사목위원회(Commissio Episcopalis Familia)로 명칭 변경, 위원장에 박 토마 주교 위촉. |
1977 4. 11-14. |
행복한가정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각 교구에서 1977년에 3,000달러의 예산을 수립키로 하고, 외국 원조의 분배는 2,000달러씩 제공키로 함. |
1975 - 1984 |
위원장 박 토마 주교는 교구와 전국 차원에서 4억 원 모금을 위해 할당. |
1975 6. 26. |
주교회의 가정사목부의 공식 기관으로 행복한가정운동 규약 승인. |
1975 5. 28. |
몇몇 사목자들과 가톨릭 의사들로 구성된 ‘행복한가정운동’ 창립총회 개최, 의장 조규상 박사, 총무 맹광호 박사 임명. |
1975 2. 28. |
박 토마 주교(춘천교구장)가 가정사목 담당 주교로 선정되고 가족계획 문제와 가족계획을 위한 외국 원조 신청 문제를 박 토마 주교에게 일임. |
1973 3. 27-30. |
주교회의는 성모병원 의료진이 중심이 되어, 가톨릭병원협회 회원과 병원 진료진과 2명의 사제를 포함하여 조직된 연구위원회가 연구한 자연적 가족계획법에 대한 보고를 받음. |
1972 10. 4-8. |
박 토마 주교의 제안에 따라 빌링스의 자연 피임법을 연구, 보급키로 합의. |
1970 6. 30. - 7. 2. |
주교회의는 정부가 추진하는 ‘모자보건법’ 제정을 막기 위해 전국적 기구를 구성하자는 데에 의견을 모으고 그 책임을 김수환 추기경에게 일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