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생애를 소개합니다.
1821년 3월 1일 | 충청도 홍주 다락골의 새터(지금의 충남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에서 성 최경환(崔京煥, 프란치스코)과 이성례(李聖禮, 마리아)의 6형제 중 장남으로 출생. * 부친 최경환의 보명(譜名)은 ‘영눌’ (榮訥), 일명 ‘영환’ (永煥) 또는 ‘치운’. |
1832년경 | 부친을 따라 고향을 떠난 뒤 서울의 낙동(駱洞, 지금의 회현동) 과 여러 지방을 거쳐 과천의 수리산(修理山) 뒤뜸이(현 경기도 안양시 안양4동의 담배촌)에 정착. |
1836년 2월 6일 | 모방(Maubant, 羅伯多祿) 신부에게 신학생으로 간택되어 서울의 신부 댁에 도착. 라틴어 수업 시작. * 3월 14일 : 동료 최방제(崔方濟,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모방 신부 댁에 도착. * 7월 11일 : 동료 성 김대건(金大建, 안드레아)이 모방 신부댁에 도착. |
1836년 12월 3일 | 동료 신학생들과 함께 모방 신부가 바라보는 가운데 십자가 앞에서 성서에 손을 얹고 순명과 복종 서약을 함. 성 정하상(丁夏祥, 바오로), 성 조신철(趙信喆, 가롤로) 등의 인도를 받아 변문(邊門)으로 출발. |
1836년 12월 28일 | 조선 입국을 위해 봉황성 책문(柵門)에 와있던 샤스탕(Chastan, 鄭牙各伯) 신부와 만남. |
1837년 6월 7일 | 중국 대륙을 남하하여 마카오에 도착. 이후 파리외방전교회(M. E. P.) 극동 대표부(대표 : 르그레즈와 신부) 구내에 임시로 설립된 조선 신학교에서 칼레리(M. Callery) 교장 신부, 르그레즈와(P. L. Legrégeois), 리브와(Libois) 스승 신부 등에게서 수학. * 그 후 르그레즈와 신부가 교장을 맡았고, 임시로 마카오에 머무르던 데플레슈(M. Desfleches) 신부가 신학생들을 잠시 지도함. * 11월 27일 : 동료 신학생 최방제(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열병으로 사망. * 1838년 8월 14일 : 페레올(Férreol, 高)신부가 계승권을 가진 조선대목구의 부주교로 임명됨(1843년 초에 가서야 교황의 칙서를 전달받음). |
1839년 4월 6일 | 마카오의 민란으로 인해 칼레리, 데플레슈 신부 등과 함께 다시 마닐라로 피신한 뒤, 도미니코 수도회의 원장 초청으로 롤롬베이(Lolombey) 농장에서 수학. * 9월 12일 : 부친 최경환(프란치스코), 기해박해(己亥迫害)로 서울에서 옥사 순교. * 9월 21일 : 제2대 조선 대목구장 엥베르(Imbert, 范世亨) 주교의 순교로, 페레올 주교가 조선 대목구장을 승계함. |
1839년 11월 | 마카오로 귀환. * 1840년 1월 31일 : 모친 이성례(마리아), 서울 당고개[堂峴]에서 참수로 순교. |
1840년 1월 8일 | 매스트르(Maistre, 李) 신부가 마카오에 도착. 신학생들의 지도를 함께 맡음. |
1841년 11월 | 철학 과정 이수, 신학 과정 입문. * 1842년 2월 15일 : 동료 김대건(안드레아),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세실(Cécille) 함장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의 에리곤(l'Erigone)호에 승선하여 마카오 출발. |
1842년 4월 26일 | 마카오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첫 번째 서한). |
1842년 7월 17일 | 만주 선교사 브뤼니에르(de la Brunière) 신부와 함께 프랑스 군함 파보리트(la Favorite) 호에 탑승하여 마카오를 출발. |
1842년 8월 27일 | 양자강(楊子江) 인근의 오송(吳淞) 항에 도착. 8월 31일경에 동료 김대건과 상봉. |
1842년 9월 10일 | 브뤼니에르 신부와 함께 파보리트 호에서 하선하여 중국인 신자 범(范) 요한의 안내로 황세흥(黃世興)의 집에서 유숙. |
1842년 9월 11일 | 범 요한의 안내로 영국 배를 이용하여 상해의 강남 대목구장 베시(Besi) 주교와 만남. * 9월 17일 : 매스트로 신부와 김대건이 상해 도착. |
1842년 10월 2일 | 베시 주교의 주선으로 브뤼니에르 신부, 매스트르 신부, 동료 김대건, 범 요한 등과 함께 창가루 섬으로 출발. |
1842년 10월 12일 | 창가루 섬을 출항(첫 번째 탐색 여행). |
1842년 10월 22일 | 요동(遼東) 반도의 남단인 태장하(太莊河) 해안에 도착. 이튿날 범 요한이 하선하여 보낸 그 지방의 회장 두(杜) 요셉과 함께 하선하여 세관으로 감. |
1842년 10월 25일 | 백가점(白家店) 교우촌의 두 요셉 회장 집에서 유숙. * 백가점 : 태장하 인근, 즉 훗날 선교사들의 조선 입국 거점이 된 차쿠 이웃에 있던 교우촌. |
1842년 11월 3일 | 매스트르 신부, 김대건 등과 이별, 브뤼니에르 신부와 함께 요동 반도 북단에 있는 개주(蓋州) 부근의 양관(陽關) 교우촌으로 감. |
1842년 11월 | 페레올 주교가 있는 소팔가자(小八家子) 교우촌으로 가서 신학 공부를 계속. * 소팔가자 : 길림성(吉林省)의 장춘(長春) 서북쪽 사평(四平) 인근에 있던 교우촌. * 1843년 초 : 페레올 주교가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의 칙서를 받고 비로소 제3대 조선 대목구장에 임명된 사실을 알게 됨. * 3월 : 조선 입국로를 탐색하던 김대건이 백가점에서 소팔가자로 거처를 이전. |
1843년 3월 | 부친 최경환(프란치스코)과 모친 이성례(마리아)의 순교 소식을 듣게 됨. |
1843년 12월 31일 | 개주의 양관에서 있는 제3대 조선 대목구장 페레올 주교의 성성식(만주 대목구장 베롤Verrolles 주교 집전)에 참석. |
1844년 1월 14일 |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소팔가자로 귀환하여 신학 공부를 계속. * 1월 말 : 페레올 주교가 소팔가자로 귀환. * 4월 : 조선의 동북쪽 입국로 탐색에 실패한 김대건이 소팔가자로 귀환. |
1844년 5월 19일 | 소팔가자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두 번째 서한). |
1844년 4월~12월 | 신학 공부를 계속하면서 삭발례로부터 제 1~5품까지 받음. |
1844년 12월 10경 | 김대건과 함께 부제로 서품됨. * 6월 4일 : 김대건 부제, 서울에서 제물포를 거쳐 상해로 건너 감. * 8월 17일 : 김대건 부제가 금가항(金家港) 성당에서 페레올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 * 10월 12일 : 페레올 주교, 다블뤼(Daveluy, 安敦伊) 신부, 김대건 신부가 충청도 황산포(黃山浦) 나바위[羅岩]를 거쳐 조선 입국에 성공. |
1846년 1월 말 |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조선 입국을 위해 훈춘(琿春)으로 감(두번째 탐색 여행). |
1846년 2월 중순 | 두만강 국경 마을에서 개시(開市)를 기다리던 중, 만주 관헌에 체포되었으나 이틀만에 석방됨.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소팔가자로 귀환하여 신학생들을 지도함. * 6월 5일 : 김대건 신부가 해로를 개척하던 중 순위도(巡威島) 등산진(登山鎭)에서 체포되어 해주(海州) 감영, 서울 포도청으로 압송됨. * 9월 16일 : 김대건 신부가 서울 새남터에서 군문효수로 순교. 조선에서 병오박해(丙午迫害) 발생. |
1846년 12월 22일 | 심양(瀋陽)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세 번째 서한). |
1846년 12월 말 |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변문을 통해 입국하려다 박해 소식을 듣게 됨. 조선 교회에서 보낸 밀사들의 만류로 입국을 포기하고, 파리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로 출발(세 번째 탐색 여행). |
1847년 초 | 파리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가 이전된 홍콩에 도착. 1839년과 1846년의 박해로 순교한 순교자들의 행적을 라틴어로 번역. |
1847년 4월 20일 | 홍콩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네 번째 서한). |
1847년 7월 28일 |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라피에르(Lapierre) 함장이 이끄는 군함 글로와르(la Gloire) 호와 빅토리외즈(la Victorieuse) 호를 타고 홍콩을 출발(네 번째 탐색 여행). |
1847년 8월 10일 | 조선 고군산도(古群山島) 부근에서 난파하여 섬에 상륙, 조선에 남고자 하였으나 라피에르 함장이 이를 거절함. |
1847년 8월 26일 | 상해 도착. |
1847년 9월 30일 | 상해에서 르그레즈와 스승신부에게 서한 발송(다섯 번째 서한). |
1849년 4월 15일 | 사백 주일에 예수회 회원이자 강남 대목구장인 마레스카(Maresca)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됨. |
1849년 5월 | 매스트로 신부와 함께 중국 배를 타고 백령도(白翎島)를 통한 조선 입국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상해로 귀환(다섯 번째 탐색 여행). |
1849년 5월 12일 | 상해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여섯 번째 서한). |
1849년 5월 | 상해를 출발하여 요동으로 감. 만주의 부주교인 베르뇌(Berneux, 張敬一) 신부 아래서 성직 수행. |
1849년 11월 3일 | 요동으로 온 매스트르 신부를 만남. |
1849년 12월 3일 | 페레올 주교의 명으로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조선 입국을 시도. 매스트르 신부와 헤어져 단신으로 입국에 성공(여섯 번째 탐색 여행. 13년 만에 귀국). 서울에서 하루를 유숙한 뒤 다블뤼 신부에게 가서 병자 성사를 주고, 충청도로 가서 페레올 주교를 만남. |
1850년 초~6월 | 용인 한덕골(경기도 용인군 이동면 묵리)에서 아우들을 만난 뒤 순회 전교 활동(5개 도 5천리). 신자 3,815명 방문, 2,401명 고해성사, 1,764명 영성체, 어른 181명과 어린이 94명 영세, 316명 보례, 278명의 예비 신자, 어린이 455명 임종 대세, 간월(경남 울주군 상북면 등억리) 교우촌 방문. |
1850년 10월 1일 | 도앙골(충남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일곱 번째 서한). |
1850년 10월~1851년 | 6월 순회 전교 활동. |
1851년 초 | 매스트르 신부의 입국을 도우려 신자들을 보냈으나 실패함. |
1851년 10월 15일 | 절골(충북 진천군 백곡면 용덕리)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여덟 번째 서한). * 1852년 8월 : 매스트르 신부, 고군산도를 거쳐 입국에 성공. * 1853년 2월 3일 : 페레올 주교 선종 후 미리내에 안장됨. * 1854년 3월 : 쟝수(Jansou, 楊) 신부 입국. 6월 18일에 둠벙이(충남 공주군 신하면 조평리)에서 사망. |
1854년 3월 | 쟝수 신부가 타고 온 배편으로 페낭(Pinnang) 신학교로 가는 신학생 3명을 태워 보냄. |
1854년 9월 | 서한 작성(아홉 번째 서한. 분실됨). |
1854년 11월 4일 | 동골(충북 진천군 백곡면 양백리 혹은 진천읍 문봉리)에서 리브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열 번째 서한). * 1854년 8월 5일 : 만주교구의 베르뇌 부주교가 제4대 조선대목구장에 임명됨 * 12월 27일 : 베르뇌 주교, 만주 대목구장 베롤 주교 집전으로 주교 성성식. |
1855년 10월 8일 | 배론(충북 제천군 봉양면 구학리) 신학교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열한 번째 서한). * 1856년 3월 27일 : 베르뇌 주교, 프티니콜라(Petitnicolas, 朴) 신부, 푸르티에(Pourthié, 申) 신부 등이 함께 조선 입국에 성공. |
1856년 9월 13일 | 소리웃(경기도 교우촌)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열두 번째 서한). |
1857년 3월 25일 | 서울에서 있는 다블뤼 신부의 보좌 주교 성성식 참가. |
1857년 3월 26일 | 한국 최초의 교구 성직자 회의에 참석. * 3월 29일 : 페롱(Féron, 權) 신부가 서울에 도착. |
1857년 9월 14일 | 불무골(풀무골, 충북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열세 번째 서한). |
1857년 9월 15일 | 불무골에서 리브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열네 번째 서한). |
1858년 10월 3일 | 오두재(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혹은 경북 상주군 모동면 수봉2리)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열다섯 번째 서한). |
1858년 10월 4일 | 오두재에서 리브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열여섯 번째 서한). |
1859년 10월 11일 | 안곡(경북 선산군 무을면 안곡리)에서 르그레즈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열일곱 번째 서한). |
1859년 10월 12일 | 안곡에서 리브와 스승 신부에게 서한 발송(열여덟 번째 서한). 공과(功課) 번역 작업 완료. |
1860년 | 죽림 (경남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의 죽밭) 교우촌에서 경신박해(庚申迫害)를 당해 숨어 지냄. |
1860년 9월 3일 | 죽림에서 르그레즈와, 리브와 스승신부께 서한 발송(열아홉 번째 서한). * 1861년 3월 21일 : 랑드르(Landre, 洪) 신부, 죠안노(Joanno, 吳)신부, 리델(Ridel, 李福明) 신부, 칼래(Calais, 姜) 신부 입국. |
1861년 6월 15일 | 베르뇌 주교에게 보고차 상경하던 중 문경 혹은 진천 배티에서 장티푸스와 과로로 인해 푸르티에 신부로부터 종부성사를 받고 선종. |
1861년 11월 초 | 가매장 되어 있던 시신이 배론으로 옮겨져 안장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