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양업 신부 생애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생애를 소개합니다.

신학생 선발과 마카오 유학
1821년 3월 1일 충청도 홍주 다래골의 새터(지금의 충남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에서 최경환(프란치스코) 성인과 이성례(마리아) 복자의 장남으로 출생
* 아명은 양업(良業), 관명은 정구(鼎九)
1827~1836년 초 부친을 따라 서울의 낙동(지금의 회현동 부근), 강원도 김성으로 이주했다가 부평 접프리에 정착
1836년 2월 6일

첫 번째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서울 후동(지금의 주교동)의 모방(나 베드로) 신부댁에 도착

1836년 12월 2일 동료 최방제(프란치스코 하비에르), 김대건(안드레아)과 함께 모방 신부 앞에서 순명과 복종을 서약
1836년 12월 3일 동료들과 함께 밀사 정하상(바오로), 조신철(가롤로) 등의 안내로 서울을 출발
1836년 12월 28일 중국 봉황성  변문 도착. 조선 입국을 기다리던 샤스탕(정 야고보) 신부와 상봉
1837년 6월 7일

마카오 파리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 안의 조선교구(정식 명칭은 조선대목구) 신학교(임시)에 도착
극동 대표부 대표 르그레즈와 신부, 신학교 교장 칼르리 신부 아래서 수학

1837년 11월 27일

동료 최방제, 위열병으로 사망

마닐라 피신과 마카오 귀환
1839년 4월 6일 마카오 소요 때문에 부대표 리브와 신부, 칼르리 교장 신부 등과 함께 마닐라로 피신
1839년 4월 19일 마닐라 도착
1839년 5월 3일 도미니코회의 롤롬보이 농장으로 거처 이전
1839년 9월 12일 부친 최경환, 기해박해로 서울 포도청에서 옥사 순교
1839년 11월 말 마닐라를 거쳐 마카오로 귀환
1840년 1월 31일 모친 이성례(마리아), 서울 당고개에서 순교
1841년 11월 철학 과정 이수, 신학 과정 입문
1842년 2월 15일 동료 김대건(안드레아), 매스트르(이 요셉) 신부와 함께 프랑스 함대 에리곤호로 출발
마카오 출발과 소팔가자 도착
1842년 7월 17일 만주 선교사 브뤼니에르 신부, 범 요한 신학생과 함께 프랑스 군함 파보리트호를 타고 마카오를 출발(1차 귀국로 탐색)
1842년 8월 23일 상해 오송 항구에 도착, 며칠 뒤 매스트르 신부, 김대건과 상봉
1842년 9월 10일 프랑스 군함에서 하선
1842년 10월 12일 상해 베시 주교의 주선으로 브뤼니에르 신부, 매스트르 신부, 김대건, 범 요한 등과 함께 상해 출발
1842년 10월 22일 요동 반도의 남단인 태장하(지금의 요녕성 장하시) 해안에 도착
1842년 10월 25일 백가점(지금의 요녕성 장하시 용화산진) 교우촌의 두 요셉 회장 집에 유숙
1842년 11월 개주의 양관(지금의 요녕성 개주시 나가점) 교우촌을 거쳐 제3대 조선 교구장 페레올 주교(고 요한)가 있는 팔가자(지금의 길림성 장춘시 합륭진 소팔가자향) 교우촌에 도착
1843년 3월 동료 김대건 팔가자 도착. 그에게 부친 최경환(프란치스코)과 모친 이성례(마리아)의 순교 사실을 확인
1843년 12월 31일 페레올 주교의 성성식에 참석(개주 양관 성당)
1844년 4월 1844년 2월 25일 이후 김대건은 팔가자-훈춘-경원(입국로)을 탐색
1844년 6월 2일경 최양업과 김대건, 팔가자에서 차부제 서품
1844년 4월~12월 신학 공부를 계속하면서 삭발례로부터 제 1~5품까지 받음.
1844년 12월 10일경 최양업과 김대건, 팔가자에서 부제 서품
* 1845년 1월 1일: 김대건 부제, 조선 입국 성공
* 1845년 8월 17일: 김대건 부제, 상해 김가항 성당에서 사제 서품 후 조선으로 귀국
사제 서품, 귀국과 선종
1846년 1월 말 조선 귀국을 위해 매스트르 신부와 훈춘 여행(2차 귀국로 탐색)
1846년 2월 중순

훈춘의 동강자(추정) 마을에서 경원 개시(開市)를 기다리던 중, 만주 관헌에게 체포되었다가 3일 만에 석방됨. 팔가자로 귀환하여 신학생 지도

* 6월 5일 : 김대건 신부, 해로를 개척하던 중 순위도에서 체포되어 해주 감영, 서울 포도청으로 압송됨
* 9월 16일 : 김대건 신부, 병오박해로 서울 새남터에서 순교

1846년 12월 말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변문으로 감(3차 귀국로 탐색)
1847년 초 변문에서 병오박해 소식을 듣고, 홍콩으로 이전된 파리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로 출발 '기해-병오박해 순교자들의 행적'을 라틴어로 번역
1847년 7월 28일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라피에르 함장의 프랑스 군함을 타고 조선으로 출발(4차 귀국로 탐색, 1차 해로 탐색)
1847년 8월 10일 고군산도(지금의 군산시 옥도면) 부근에서 난파하여 섬에 임시 상륙
1847년 8월 26일 상해 도착 후 서가회 안에 있던 예수회 신학원에서 수학
1849년 4월 15일 사백 주일에 상해 성당(장가루 성당 또는 김가항 성당이나 서가회 신학원)에서 사제 서품
(나폴리 성가회의 강남교구장 마레스카 주교 집전)
1849년 5월 매스트로 신부와 함께 백령도 탐색 후 상해 귀환(5차 귀국로 탐색, 2차 해로 탐색)
요동의 차쿠 성당(지금의 요녕성 장하시 용화산진)으로 가서 베르뇌(장 시메온) 신부의 보좌로 사목 시작
1849년 11월 3일 매스트르 신부와 상봉
1849년 12월 말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명에 따라 봉황성 변문으로 가서 귀국 시도(6차 귀국로 탐색)
매스트르 신부와 헤어져 단신으로 귀국에 성공(13년 만에 귀국)
1850년 초 다블뤼 신부에게 가서 병자성사를 주고, 충청도로 가서 페레올 주교와 상봉
1850~1851년 진천 동골 교우촌(미상)에 거처를 두고 전국 다섯 개 도를 순방
1852년 8월 매스트르 신부, 고군산군도를 거쳐 조선 입국에 성공
1853년 여름 최양업 신부, 배티 조선교구 소신학교*의 지도 신부로 임명됨
(* 조선교구 소신학교: 다블뤼 교장 신부가 설립한 뒤, 1850년 9-10월 배티 교우촌에 새 교사를 마련함)
1854년 3월 배티 소신학생 3명을 말레이시아 페낭 신학교로 유학 보냄
1859년 말 이전 전국 다섯 개 도를 순방하면서 신자들을 방문
1860년 9월 경신박해로 죽림 (지금의 울산시 상북면 이천리) 교우촌에 은거함
1861년 6월 15일 베르뇌 주교에게 보고차 상경하던 중 과로에 장티푸스가 겹쳐 충북 진천 또는 경북 문경에서 선종
1861년 11월 초 선종지에 가매장되었던 시신이 배론으로 옮겨져 안장됨